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은 글로벌 금융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습니다. 특히, 미국 증시에서는 AI 대장주인 엔비디아(NVIDIA)가 급락하는 등 큰 변동성을 보인 반면, 미국에 상장된 중국 ETF는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며 정반대의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오늘은 미국에 상장된 중국 ETF 중 관심 가져볼 만한 ETF 5가지를 같이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1. FXI : iShares China Large-Cap ETF
2004년 10월 5일에 출시되었으며 FTSE 중국 50 지수 (FTSE China 50 Index)를 추적하며,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0개의 대형 중국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금융, 석유가스, 기술 및 통신 섹터에 집중되어 있으며, 자산의 최소 90%를 기초물 지수의 종목에 투자합니다. 중국 대형주에 투자하는 ETF로 딥시크의 등장과 AI 분야에서의 중국 기업들의 성장 가능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주로 중국 대형주에 투자하며 기술 섹터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중국의 대형주에 집중 투자하며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 발행기관: BlackRock (iShares)
- 자산규모 : 80.9억 달러
- 발행주수 : 215,100,100
- 보수 : 0.74%
- 배당 수익률 : 1.52% (배당주기 : 반기)
- 보유 종목: 총 59개 종목.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 핑안보험(Ping An Insurance),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 등 대형주 중심
- 최근 이슈: FXI는 중국 대형주 중심 ETF로, 최근 딥시크(DeepSeek) 발표 이후 기술주 중심의 기대감에 동반 상승했습니다. 중국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과 기술 기업들의 성장이 ETF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대중국 견제 정책과 함께 일정 부분 조정을 받았습니다.
- 주가 변화: 52주 최저가 23.58달러에서 최고가 37.50달러까지 상승했으며, 1년 수익률은 +57.08%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딥시크 발표 직후 4.05% 상승했으나, 이후 과열 해소로 일부 하락했습니다.
2. KWEB : KraneShares CSI China Internet ETF
2013년 7월 31일에 출시되었으며 중국의 주요 인터넷 및 기술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최근 딥시크의 AI 모델 발표 이후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했습니다. CSI 해외 차이나 인터넷 지수의 운용 실적을 추종하며 주사업이 인터넷 및 인터넷 관련 부문인 중국 소재 상장기업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중국 인터넷 및 기술 산업에 집중하며 변동성이 높은 편이지만, 장기적 성장성이 돋보입니다.
- 발행기관: KraneShares
- 자산규모 : 86.2억 달러
- 발행주수 : 237,366,000
- 보수 : 0.70%
- 배당수익률 : 3.04% (배당주기 : 1년)
- 보유 종목: 텐센트(Tencent), 알리바바(Alibaba), 메이투안(Meituan), 바이두(Baidu) 등 주요 인터넷 기술주 중심
- 최근 이슈: 딥시크 발표 이후 6.29% 상승하며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습니다. 이는 중국 인터넷 기업들이 AI 기술 개발에서 기대감을 높였기 때문입니다.
- 주가 변화: 딥시크 발표 직후 강한 상승을 기록했지만, 31일엔 과열 해소로 3.64% 하락했습니다.
3. MCHI : iShares MSCI China ETF
MCHI ETF는 2011년 3월 29일에 출시되었으며 중국 시장 전반에 투자하는 대표 ETF로서 안정성과 성장성을 모두 고려한 투자자들에게 선호됩니다. MSCI China 지수의 운용실적 추적을 추구하며 중국 주식 시장의 시가총액 상위 85%에 해당하는 주식 종목의 실적을 측정하기 위해 고안된 유동주 조정형 시가총액 가중 지수입니다. 중국의 대형 및 중형 기업에 대한 노출로 중국 주식 시장의 85%를 포괄합니다. 중국 경제의 회복 속도와 미중 관계 개선 여부가 ETF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발행기관: BlackRock (iShares)
- 자산규모 : 65.4억 달러
- 발행주수 : 113,400,000
- 보수 : 0.59%
- 배당수익률 : 2.02% (배당주기 : 반기)
- 보유 종목: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 메이투안(Meituan), 핑안보험(Ping An Insurance) 등 대형주 및 중형주 혼합
- 최근 이슈: MCHI는 딥시크 발표 이후 4.30% 상승했으며, 중국 정부의 경제 부양책 발표 기대감으로 추가 상승 여력이 커졌습니다.
- 주가 변화: 최근 연간 수익률 마이너스입니다. 하지만, 최근 상승 후 조정으로 2.06% 하락했습니다.
4. BOTZ : Global X Robotics & Artificial Intelligence ETF
BOTZ ETF는 2016년 9월 12일에 출시되었으며 글로벌 로보틱스 & 인공지능 ETF로 미국에 설립된 상장 지수 펀드입니다. 이 ETF는 Indxx 글로벌 로보틱스 & 인공지능 테마 지수의 성과를 추적합니다. 로봇공학 및 인공지능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로, 중국 AI 기업들의 부상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AI 및 로봇 기술의 장기적 성장을 바라보는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ETF입니다. 지역별 비중은 미국 51.3%, 일본 26.7%, 중국 3.4%입니다.
- 발행기관: Global X
- 자산규모 : 27.2억 달러
- 발행주수 : 88,982,600
- 보수 : 0.68%
- 배당수익률 : 0.13% (배당주기 : 반기)
- 보유 종목: 46개. NVIDIA, ABB Ltd, Intuitive Surgical, Keyence Corp 등 글로벌 AI 및 로봇 기업 중심
- 최근 이슈: 딥시크 등장으로 인해 중국 AI 시장의 급성장 기대감이 부각되며 BOTZ 역시 긍정적 영향을 받았습니다. NVIDIA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점에서 딥시크의 영향으로 단기 하락이 나타났지만, 장기적 투자 매력은 여전히 높다는 평가입니다.
- 주가 변화: 딥시크 발표 직후 3% 이상 하락했으나, 기술주 반등과 함께 안정적인 흐름을 회복 중입니다.
5. CQQQ : Invesco China Technology ETF
2009년 12월 8일에 출시되었으며 중국 기술 섹터 전반을 포함하는 ETF로 알파쉐어스 중국 테크놀로지 지수의 성과를 추적합니다. 중국 기술주 투자에 집중하며 AI, 클라우드, 통신, 전자상거래 등 고성장 분야에 집중하는 ETF입니다. 중국 기술 기업들의 혁신과 성장, 그리고 정부 지원 정책으로 인해 CQQQ의 성과가 개선되고 있습니다. 특히 AI, 5G, 반도체 등 첨단 기술 분야의 발전이 ETF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발행기관: Invesco
- 보유 종목: 총 154개 종목. 텐센트(Tencent), 알리바바(Alibaba), JD닷컴(JD.com), 바이두(Baidu) 등 IT 및 기술 중심
- 자산규모 : 11억 달러
- 발행주수 : 22,101,300
- 보수 : 0.65%
- 배당수익률 : 0.24% (배당주기 : 1년)
- 최근 이슈: 딥시크 발표 이후 중국 기술주 중심의 상승세에 힘입어 4% 이상 상승했으며, AI 관련 기업 투자 비중이 높아 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 주가 변화: 52주 최저가 30.25달러에서 최고가 50.98달러까지 상승했으며, 1년 수익률은 +47.81%로 강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딥시크 발표 이후 강세를 보였으나, 31일 조정으로 일부 하락했습니다.
마치며
이 5개 ETF는 중국 AI 및 기술 시장의 성장성과 미국-중국 간 긴장 관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투자자는 각 ETF의 보유 종목과 시장 흐름을 면밀히 분석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상기 ETF는 추천 종목이 아닙니다. 다만, 관련 ETF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함이니 참고용으로 활용 바랍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5.03.01 - [경제플러스] - 중국 공동부유론 vs 선부론 차이점 정리 경제 성장 전략 비교
중국 공동부유론 vs 선부론 차이점 정리 경제 성장 전략 비교
최근 중국 기술 기업들의 주가가 미국 기술주를 앞지르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딥시크 AI 출시와 더불어 중국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이 기폭제가 되었는데요. 게다가 시진핑 중국
genieplus.tistory.com
2025.03.07 - [경제플러스] - 트럼프 연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영향 & 가스관 관련주 기업 분석
트럼프 연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영향 & 가스관 관련주 기업 분석
2025년 3월 4일(현지시간), 미국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의회 연설에서 언급한 알래스카 LNG 파이프라인 프로젝트가 글로벌 에너지 시장뿐만 아니라 한국 경제와 관련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
genieplus.tistory.com
'경제플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연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영향 & 가스관 관련주 기업 분석 (0) | 2025.03.07 |
---|---|
에너지 3법, 왜 중요한가? 핵심 내용 및 배경 분석 (0) | 2025.03.05 |
중국 공동부유론 vs 선부론 차이점 정리 경제 성장 전략 비교 (0) | 2025.03.01 |
한국 조선업 관련주 기업 주식 TOP 3 (조선 3사 기업 경쟁력 비교) (0) | 2025.02.28 |
이퓨얼(E-Fuel)이 뭔가요? 전기차 대안으로 떠오른 이유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