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은행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됩니다. 바로 일반은행과 특수은행인데요. 일반은행은 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어 주로 예금, 대출, 지급결제 업무를 수행합니다. 일반은행은 다시 시중은행, 지방은행, 외국은행 국내지점, 인터넷 전문은행으로 구분됩니다.
특수은행은 개별 특수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일반은행이 자금을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운 부분에 자금을 지원하는 은행을 말합니다.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NH농협은행, SH수협은행이 바로 여기에 해당됩니다. 오늘 이 5가지 특수은행 중에서도 국책은행으로 분류되는 KDB산업은행, IBK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KDB산업은행
KDB산업은행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업무를 모두 수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KDB산업은행은 우리나라의 산업개발과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1954년에 한국산업은행법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전후 경제재건 주도와 국가 성장동력 확보, 시장안전판 역할 수행 등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역할을 통해 산업과 국민경제 발전을 선도하였습니다.
KDB산업은행의 정책금융은 아래와 같이 크게 4가지로 구분됩니다.
1. 혁신성장금융
혁신기업 및 벤처기업에 대한 모험자본, 성장자본 공급 및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미래 신성장 산업을 육성하고 기업 경쟁력을 제고합니다.
2. 투자금융
회사채 주선, 구조화 금융, M&A, PE 등 다양한 자본시장의 Tool을 활용하여 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지원합니다.
3. 글로벌금융
국내기업의 해외 신시장 개척을 지원하고 해외 PF금융, Cross-border 금융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선도적 개척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차주 역할을 수행합니다.
4. 사회적금융
기업의 일자리 창출, 국가 균형발전,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등 포용적 금융을 강화하고 기후/환경금융을 주도합니다. 남북경협, 북한개발에 대한 연구/조사 기능을 강화하고 한반도 협력시대를 체계적으로 준비합니다.
2. IBK기업은행
IBK기업은행은 중소기업인의 자주적인 경제활동을 원활하게 하고 그 경제적 지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1961년 중소기업은행법에 의거하여 설립되었습니다. IBK기업은행은 대한민국 금융위원회 산하 기타 공공기관으로 국책 특수은행입니다. 중소기업은행, 기업은행, IBK기업은행 등으로 혼용되어 불리어집니다.
IBK기업은행은 62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중소기업이 원하는 혁신적인 금융상품을 개발, 대면 및 비대면 채널을 통해 활발히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밀하게 설계된 신용평가시스템으로 우량 기업을 발굴하고, 혁신창업생태계를 육성하며, 여신 지원 후 철저한 모니터링 및 체계적인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선도적인 건전성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주요 역할은 다음 3가지입니다.
1. 중소기업인 경제활동 지원
재정자금 차입, 중소기업금융채권 발행 등
2. 은행 고유의 업무
은행법 관련 법률에 근거한 은행 고유 업무, 부수업무, 겸영업무 수행
3. 중소기업 단계별 지속가능 성장 지원
우량기업 발굴 및 지원, 기술려과 미래 가능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여신 업무 수행, 모험자본 공급 확대, 기업의 성장 단계별 맞춤형 지원 업무 수행, 중소기업 ESG 경영 지원 등
3.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은 1976년에 설립되었으며 수출입, 해외투자 및 해외자원개발 등 대외 경제 협력에 필요한 금융을 제공하며 국민 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자동차, 조선, 플랜트 등 기간산업부터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등 첨단 전략산업에 대한 금융지원을 통해 대한민국 수출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70조 원을 초과하는 76.4조 원의 금융을 지원하여 수출 회복의 모멘텀을 마련하였으며, 최근 4대 핵심 과제를 통해 지속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1. 수출 역동성 회복을 위한 노력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첨단전략산업, 차세대 수출 동력으로 성장 중인 방위산업, 무탄소 전환 흐름 속에 주목받고 있는 원전산업에 대한 중점 지원을 통해 수출 역동성 회복을 견인하고, ‘해외건설 수주 500억 불 달성’을 위해 우리 기업의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 수주를 전방위적으로 지원하여 대한민국 수출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경제 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을 위한 노력
올해 새롭게 출범하는 ‘공급망안정화기금’을 조기 안착시켜 희소 자원 및 필수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 및 대한민국 기업들이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제조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 협력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도록 전폭 지원하고 있습니다.
3. 대외환경 변화에 능동적인 대응
18조 원 규모의 ESG 금융 지원을 통해 우리 경제의 탄소중립 전환과 ESG 경쟁력 강화를 지원하고, 한국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여 급변하는 글로벌 무역질서에 대응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4.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적 정책금융기관으로 자리매김 노력
개발금융 추진체계 고도화, 자본시장 기능 강화, 유연하고 전략적인 금융지원을 통해 정책금융의 지원효과를 극대화하고,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IBK기업은행이 중소기업인 경제활동 지원에 좀 더 중점 되어 있다면, KDB산업은행은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에 좀 더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금융 기능 역할이 좀 더 강조됩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은 수출 무역에 포커싱을 두어 기업과 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발금융과 더불어 글로벌 무역질서가 안정화되도록 지원하는 역할에 더욱 집중하고 있어 차이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감사합니다.
'경제플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을 대표하는 3대 지수 (다우, 나스닥, S&P500 뜻과 의미) (1) | 2024.05.24 |
---|---|
2차전지 Safety Solution업체 이닉스 기업 정보 분석 (0) | 2024.05.02 |
MZ세대의 특성에 따른 트렌드 변화 3가지 (0) | 2024.03.14 |
제이엔비 기업 개요 및 주요 제품, AI 반도체 최근 이슈에 대하여 (0) | 2024.03.12 |
반도체 산업의 역사 및 한국 반도체 위치 (0) | 2024.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