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에서 한국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한 4가지 원칙에 대해 제안을 하였습니다.
이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잘 이루어져 앞으로 한국 주식 시장이 건전한 자산 형성과 원활한 국가 경제 흐름에 기여하는 장이 되기를 진심으로 바라고 있기 때문에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무엇인지,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에서 제안한 4가지 원칙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해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입니다. 아직 구체적인 방안은 나오지 않았지만 곧 2월 중에 세부 방안이 공개될 예정이며 현재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순자산비율(PBR)·자기자본이익률(ROE) 등 상장사의 주요 투자지표 비교공시 시행
2. 상장사에 기업가치 개선 계획 공표 권고
3. 기업가치 개선 우수기업으로 구성된 지수 및 상장지수펀드(ETF) 도입 등
이로 인해 기업 가치가 개선되고 주주환원 정책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감을 모으고 있는 상태입니다. 최근 주식 시장에서는 '저PBR' 업종의 기업들의 주가가 오르고, 주주환원 정책을 실천하는 기업들의 두드러지는 강세를 보였습니다. 대표적으로 업종으로는 자동차, 은행, 보험, 증권, 지주사 등입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성공을 위한 제안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에서 제안한 4가지 원칙
1. 별도의 독립된 '기업 거버넌스 개선 보고서'를 제출
기업 설명(IR) 홈페이지 초기 화면에 보고서 업로드를 유도해야 하며 해외 투자자를 위한 영문 보고서 작성도 필요하다고 제안했습니다. 기존 기업지배구조보고서에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보고서가 필요하다는건데, 별도의 보고서를 작성하다보면 기업 거버넌스 개선을 위해 좀 더 구체적인 실행에 도움이 될거라 생각됩니다.
2. 이사회 구성 멤버 모두 표기
밸류업의 주체는 경영진이 아닌 이사회임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고서에 이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이사 이름을 표기해 책임과 의무를 강조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실제적인 이사회 구성과 기업 의사 결정에 실제적인 책임과 의무를 갖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 봅니다.
3. 주요 장기 투자자와 파트너십 구축
국민연금과 외국 초대형 뮤추얼 펀드 및 연기금 등 주요 장기투자자와 파트너십 구축해 지속적인 피드백 받으면 프로그램을 더욱 정교하게 만들 수 있다며 이를 제안하였습니다. 일본의 경우 도쿄거래소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90개 이상의 우량 장기투자자들과 인터뷰를 통해 피드백을 받았다고 합니다.
4. 최소 3~5년 지속 추진
정부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시작하면 최소한 3~5년 추진해야 합니다.
마무리
제가 평소에 즐겨보는 경제 유튜브 '이남우의 좋은주식연구소'의 이남우 교수님께서 한국기업거버넌스협회 회장직을 맡으셔서 더욱 관심을 두고 지켜보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기업 밸류 프로그램을 잘 진행하여 선거를 앞둔 일시적인 정책이 아닌 지속적이면서 실제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힘써주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OECD 국가 중 PBR 등 주식 밸류에이션은 한국 증시가 가장 낮다고 합니다. 저는 이번 기회에 우리나라 기업들이 PBR 1 미만의 기업들이 이렇게 많은지 처음 알게 되었는데요. 기업들의 주주가치 정상화를 위한 노력이 잘 이루어져 건강한 투자를 통해 기업과 주주가 함께 성장하는 튼튼한 경제의 근육을 키워나가가는 좋은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플러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3월 공모주 일정 및 상장 예정 기업 정보 (2) | 2024.02.28 |
---|---|
한국의 5대 방산주 기업 (0) | 2024.02.24 |
에스앤에스텍 기업 매출 현황 및 전망 (0) | 2024.02.22 |
[필수 주식 용어 5가지] PER, PBR, EPS, BPS, ROE (0) | 2024.02.20 |
공모주 투자의 기본, 알아두면 좋은 3가지 사항 (0) | 2024.02.20 |